카테고리: 대심리

대심리 느티나무

 □ 소  재 지 : 양서면 대심2리 54-2번지 □ 지정사항 : 지정번호 경기-양평-18, 지정일 1982. 10. 15      남한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 아담한 교회 앞마당에 서 있는 이 나무는 1905년에 설립된 상심교회의 한 신도가 심었다고 전한다. 주간높이 1m 부위에서 여덟 개의 줄기로 나뉘어 사방으로 뻗었으나 강가 쪽의 가지가 더 무성하여 전체 모습은 한쪽으로 약간 기운 […]

대심리 유적2

   이 유적은 대심리 남한강 가운데의 중지도로 원래는 강안충적지였으나 팔당댐 건설로 수위가 상승하자 섬처럼 육지에서 떨어져나오게 된 지역이다. 섬 안에는 거북농장이라는 농장이 있어 경작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곳까지는 대심리에서 나룻배로 건너오게 된다.   팔당댐 건설로 인한 수몰당시 서울대학교 박물관에서 구제발굴을 실시하여 이곳 대심리 일대의 문화유적에 대한 일면이 확인되었다.   발굴조사에서 특별한 유구는 파악되지 않았고, 다만 청동기, 원삼국, 삼국 […]

대심리 유적1

   이 유적은 대심리 남한강변에 접한 작은 섬인데 원래는 육지와 연접한 강안 충적지였으나 팔당댐 건설로 인한 남한강 수위상승으로 인해 섬처럼 떨어진 지역이다. 이 유적은 팔당댐 건설당시 서울대학교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과정에서 다량의 청동기시대 유물과 원삼국시대 유물이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그러나 관련된 유구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원삼국시대의 문화층만 일부 확인하였다.   이곳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유물은 토기류뿐 아니라 여러 가지 철기가 […]

이양우선생 묘 및 신도비

□ 소  재 지 : 양서면 대심리 산27□ 시      대 : 신도비 – 1908년 재건□ 지정사항 : 양평군 향토유적 제31호      양서면소재지에서 양평읍 쪽으로 6번 국도를 따라 8km 정도 가다보면 오른쪽으로 대심리 한여울로 들어가는 마을길이 나온다. 이 길을 500m쯤 올라가면 이양우 신도비가 있고 신도비에서 능선을 따라 약 50m 올라가면 묘가 나온다.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 이양우(李良祐, 1346~1417)는 고려말 […]

대심리 지석묘

   이 유적은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에서 실시한 지표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지석묘로 양수~양평 간 국도에서 대심리 거북농장으로 건너가는 나루터 방향으로 진입하는 길 북쪽 양평 허씨 분묘군이 모여 있는 지역 끝  머리에 놓여 있다.   현재 개석 3분의 1 지점이 반으로 쪼개진 상태인데 편평한 개석 상면만이 지상에 노출되어 있어 전체 형태를 판단하기 어렵다.   평면형태는 장타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규모는 장축 […]

이원계

(李元桂, ? -1388)    무신. 시호는 襄平, 본관은 전주, 환조대왕(子春)의 1자로, 어머니는 한산이씨다. 태조고황제 潛邸時에는 의안대군 등 3형제의 우애가 매우 두터웠다. 태조고황제와 함께 누차 홍건적과 왜구를 토벌, 혁혁한 공을 세웠다. 1359년(고려 공민왕 8)에 홍건적이 압록강을 건너와 노략질을 하자 이를 격파하여 2등공신이 되고 1361년 2차 침입 때 內府令으로서 安祐 등과 함께 博川에서 홍건적을 크게 무찌르고 다음 […]

이양우

(李良祐, 1346~1417)      여말 조초의 문신. 시호는 安昭, 본관은 全州, 완풍대군 李元桂의 아들이며, 태조 이성계의 조카이다. 고려 말기에 사복시정으로 출사하였으며, 1402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 2등으로 영안군에 봉해졌으며, 의정부 찬성사가 되었다. 1408년(태종 8)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태종 12년(1412) 완원부원군에 진봉된 후, 품계가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이르렀다. 묘는 양서면 대심리에 있다. 묘소입구에 위치한 […]

서 성

(徐渻, 1558~1631)      문신. 자는 玄紀, 호는 藥峯, 시호는 忠肅, 본관은 달성, 徐嶰의 아들, 李珥 · 宋翼弼의 문인이다. 1586년(선조 19) 별시문과에 급제, 1592년(선조 25) 병조좌랑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 호소사 黃廷彧의 종사관으로 함북에 이르러 두 왕자와 황정욱 등이 포로가 되자 혼자 탈출했다.   왕명에 따라 행재소에 이르러 병조정랑, 직강이 되고 명나라 장수 유정을 대접했다. 그 […]

다음 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