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손

(鄭昌孫, 1402-1487)
   조선초기의 문신. 자는 孝仲, 호는 동산, 시호는 忠貞, 본관은 동래, 중추원사 鄭欽之의 아들이다. 1423년(세종 5) 사마사를 거쳐 1426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였고 집현전의 저작랑과 교리를 역임하면서 『통감훈의』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443년 집현전 응교가 되어 최만리 등과 한글 창제에 반대하다가 파직, 투옥되기도 하였고 세종의 불경사업에 반대하여 좌천되기도 하였다. 1447년(세종 29) 문과중시에 등재한 후 1449년 집현전 부제학으로 춘추관편수관 수사관을 겸직하면서 『高麗史』『世宗實錄』『治平要覽』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문종 때에는 대사헌을 역임하였으며 대제학 병조판서를 지내며 『文宗實錄』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1453년(단종 1) 이조판서 1455년(세조 1) 좌찬성으로 이조판서를 겸했으며, 좌익공신 3등에 녹훈되고 봉원군에 봉해졌다. 이듬해 사위 김질에게 들은 성삼문, 박팽년의 단종복위 음모를 고변한 공으로 좌익공신 2등에 승차되고 부원군에 진봉되었으며, 이어 대사성, 대제학을 역임하였고, 1457년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1468년 예종 즉위 후 남이․강순의 옥사를 다스려 익대공신 3응이 되었다. 1469년 성종이 즉위하자 원상이 되었으며 1472년 궤장을 하사 받았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 2등이 되고 1475년(성종 6)에 다시 영의정을 지낸 후 1485년(성종 16) 치사하기까지 3대조에서 15년 간 영상을 역임하였다.
   1487년(성종 18) 86세로 별세하니 왕은 청빈재상 이라 하여 3일간 친조하고 부의를 후사하였다. 그 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어머니 윤씨의 폐비론에 참가한 죄로 부관참시 되었으나, 1506년(중종 1) 신원되고, 1514년(중종 9)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성종대왕 묘정에 배향되었다. 묘역이 위치하는 곳은 양서면 부용리 항목 부락의 야산이다. 신도비는 원래 서거정이 1488년에 지었으나, 파쇄 후 개장 때 외선 이원익이 1623년(선조 1)에 재건하였다. 비문은 한준겸이 추찬하고 심열이 글을 썼다. 묘역은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85호로 지정되어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