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민①

(李好閔, 1553-1634)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孝彦, 호는 五峰, 南郭, 睡翁이며, 시호는 文僖, 본관은 연안, 延安君 李淑琦의 증손이며 이천현감 李國柱의 넷째 아들이다. 선조 12년(1579)에 진사가 되고 1584년에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사관으로 발탁되고 계속해서 응교, 전한 집의를 역임하였다.
   1592년 이조좌랑으로 임진왜란을 만나 의주까지 왕을 호종하였다가 요양으로 가서 명나라에 지원을 요청, 이여송이 이끄는 명나라의 군대를 끌어들이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상호군, 행사직을 거쳐 1595년 부제학으로 명나라의 외교문서를 전담하여 초안하였다.
   1596년 참찬관을 거쳐 1599년 동지중추부사가 되어 사은사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01년 예조판서 인성왕후의 誌文을 다시 썼고 대제학, 좌찬성을 지냈다. 1604년 호성공신 2등으로 연릉군에 봉해졌다. 그 뒤 대광보국숭록대부가 되고 연능부원군에 진봉되었다.
   1608년 선조가 죽자 영창대군의 즉위를 반대하고 적서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여야 된다는 입장론을 주장하였다. 광해군이 즉위하자 告訃晴諡承襲使로 명나라에 가서 입장론을 내세웠다. 공을 세운 데 대하여 포상하여 하자 「告訃時功勞辭箚」를 올려 이를 사양하였다.
   1612년 김직재의 옥사에 연루되었고 1614년 정온 등이 영창대군 살해에 대한 항의를 하다가 귀양을 가게 되자 「請還收鄭蘊輔外箚」를 올려 이들의 방면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광해군 7년(1615) 정인홍 등의 원찬론에 봉착, 7년간 교외에서 대죄하였다.
인조반정 후 구신으로 우대를 받았고 죽은 뒤 청백리에 올랐다. 문장과 시에 능했으며 의주에 있을 때 적의 수중에 있는 서울을 삼도의 군사가 공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지은 詩 「龍灣行在下三道兵進攻漢城」은 절창으로 널리 애송되었다. 지예의 도동향사에 제향되었다.
묘는 옥천면 신복2리 속칭 말골(斗谷)의 마유산에 위치한다. 묘비는 인조 12년(1634)에 건립된 것으로 비명은 김주우가 글씨를 썼다. 신도비는 인조 13년(1635)에 건립된 것으로 비문은 이명한이 글을 짓고, 김주우가 글씨를 썼다. 이호민의 영정, 묘, 유적 등은 모두 경기도지방문화재 제144호로 지정되었고, 신도비는 양평군 향토유적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저서로는 『五峰集』 16권이 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